항공우주공학은 대표적인 융합공학 분야로, 기계, 전자, 제어, 재료, 컴퓨터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필요로 한다.
그만큼 실제 산업 현장에서도 전공 이론 외에도 실무 능력, 설계 툴 숙련도, 정비 자격, 품질 관리 능력 등을 갖춘 인재가 더욱 환영받는다.
이러한 전문성은 단순한 학위만으로는 충분히 증명되기 어렵기 때문에, 자격증과 시험을 통한 객관적 실력 증명은 매우 중요하다.
특히 항공산업체, 국방 관련 연구기관, 항공 정비(MRO), 위성 및 로켓 개발 분야에서는 관련 자격증 보유 여부가 입사 혹은 승진의 평가 기준이 되기도 한다.
이번 글에서는 항공우주공학과 관련해 국내외에서 활용도가 높고, 실제 산업에서 인정받는 주요 자격증과 시험 정보를 체계적으로 소개한다.
각 자격증의 개요, 응시 자격, 시험 과목, 활용 분야까지 구체적으로 정리했다.
1. 항공정비사 (항공기사/항공산업기사) – 국가기술자격
✅ 개요
국토교통부 산하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국가기술자격시험으로, 항공기의 정비와 관리에 필수적인 기술력을 갖췄는지를 평가한다.
정비 기술직, MRO(Maintenance, Repair, Overhaul), 항공사 기술 부서 등에서 실무 인력 채용 시 우대한다.
✅ 종류
- 항공기사: 4년제 항공우주공학과 졸업자 또는 관련 경력자 응시 가능
- 항공산업기사: 2~3년제 학과 졸업자 또는 관련 경력자
✅ 주요 시험 과목
필기시험:
- 항공역학
- 항공기체
- 항공기관
- 항공법규
- 전자전기 및 계기 시스템
실기시험:
- 항공기 점검, 정비 작업 실무 평가
- 도면 해독, 공구 사용, 시스템 결함 진단
✅ 활용 분야
- 대한항공, 아시아나항공, 한국항공우주산업(KAI)
- 정비전문업체(에어코리아, 샤프테크닉스)
- 항공기 인증 및 운항관리 부서
2. 항공교통안전시설 기술사 – 고급 국가전문자격
✅ 개요
항공 교통 및 안전시설 관련 기술적 전문성과 관리 능력을 평가하는 최고 등급의 기술사 자격이다.
공항시설 설계, 항공관제 인프라, 항행안전시설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, 고위 공무원, 기술직 공기업 관리자, 항공 전문 컨설턴트로 진출 가능하다.
✅ 응시 자격
- 관련 실무 경력 4년 이상(기사 자격 보유자 기준)
- 항공우주공학, 교통공학 전공자 우대
✅ 시험 과목
- 항공기술 전반
- 항공교통시스템 설계
- 공항 운영 안전
- 항행안전 설비 이해
※ 필답형 논술 + 면접
✅ 활용 분야
- 한국공항공사, 인천국제공항공사
- 국토교통부 산하 항공정책국
- 항공안전 컨설팅 및 감리업체
3. 항공전자정비 기능사/산업기사 – 전자 및 제어 계열 자격
✅ 개요
항공기의 항법장비, 통신장비, 전자제어장치 등의 정비 및 설계·운영에 필요한 기술을 다루는 자격증이다.
전자제어, 항공전자 계통, 무인기 통신장비 등 전자 관련 직무로 진출하려는 항공우주공학 전공자에게 적합하다.
✅ 응시 자격
- 기능사: 제한 없음 (학생 응시 가능)
- 산업기사: 전문대 이상 관련 전공자
✅ 주요 과목
- 항공전자회로
- 항공기 전기시스템
- 계기 및 센서 해석
- 디지털 논리회로
- 전자공작 및 측정 실습
✅ 활용 분야
- 항공전자 시스템 유지보수
- 무인기, 드론 통신제어 개발
- 항공기 전기/전자 부문 정비 및 설계
4. ADX (항공우주산업 전문기술인 인증) – 민간 인증제도
✅ 개요
항공우주산업협회(KAI, 한화, LIG넥스원 등이 참여)가 주관하는 산업 현장 중심의 민간 인증 프로그램으로,
설계, 생산, 품질, 정비 등 현업 중심 기술역량을 객관적으로 인증한다.
✅ 인증 분야
- 항공기 구조 설계
- 항공기 생산기술
- 항공 부품 품질관리
- 복합재 제조공정
✅ 특징
- 실무 중심 포트폴리오 기반 평가
- 항공사 및 방산업체 채용 시 우대 요소
- 산업체 인턴/채용 연계 프로그램 포함
✅ 대상
- 항공우주공학 전공 대학생 및 졸업생
- 현업 기술 인력 중 역량 검증 희망자
5. FAA 자격증 (미국 항공정비사 – A&P License)
✅ 개요
미국 연방항공청(FAA)에서 발급하는 항공기 정비 자격증으로, 국제 항공정비 분야에서 가장 공신력 있는 라이선스다.
국내외 항공사, 글로벌 MRO 업체, 미군 군수지원 부문 등에서 적극 채용한다.
✅ 종류
- A (Airframe): 기체 구조 및 시스템 정비
- P (Powerplant): 엔진, 추진계통 정비
- A&P: 두 자격 통합
✅ 특징
- 영어 능력 필수
- FAA 인증 교육기관에서의 학습 필요
- 필기 + 구술 + 실기 시험 통과 필요
✅ 활용 분야
- 해외 취업(보잉, 에어버스 협력사)
- 국내 항공사 기술 수출 부문
- 미군 정비 계약기업(KBR, Honeywell 등)
6. CAD/CAE 툴 관련 자격 (CATIA, NX, ANSYS 등)
✅ 개요
항공우주 분야는 대부분의 설계와 해석을 3D 설계 프로그램(CAD) 및 유한요소해석(CAE) 툴을 통해 진행한다.
이 때문에 해당 툴에 대한 숙련도는 채용에서 매우 중요한 평가 요소가 된다.
✅ 주요 툴과 자격
소프트웨어 | 용도 | 자격 인증/강좌 |
---|---|---|
CATIA | 항공기 3D 설계 | Dassault 인증 자격, 한컴아카데미 |
NX (Siemens) | 구조 설계 + 가공 해석 | Siemens 인증 시험 |
ANSYS | 열·응력 해석 | ANSYS 공식 교육 과정 이수 |
MATLAB | 제어 시스템 설계 | MathWorks 교육 수료증 |
STK / GMAT | 궤도 해석 | 위성 시스템 분석용 전문 툴 |
✅ 활용 분야
- 항공기 설계부서
- 구조 해석, 열 해석 담당 부서
- 위성 궤도 시뮬레이션 및 발사체 해석
7. 드론 자격증 (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자격)
✅ 개요
항공우주공학의 응용 분야로 드론(UAV, UAM 등) 관련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.
국토교통부에서 발급하는 초경량비행장치 자격증은 드론 조종뿐 아니라 관련 설계, 시험, 운용 직무에서 기본 요건으로 인정된다.
✅ 등급
- 1종: 고성능/중대형 드론 (업무용, 기업용)
- 2종: 중소형 드론 (영상촬영, 측량 등)
- 3종: 교육용, 취미용
✅ 시험
- 필기 + 비행실기 (공인 교육기관 필요)
- 항공법규, 기상, 조종원리 등 이론 포함
✅ 활용 분야
- 드론 시험 운용 엔지니어
- UAM 개발, 제어 시스템 실험
- 군수용 무인기 연구직
결론: 자격은 실력을 증명하는 ‘언어’다
항공우주공학은 그 자체로도 고난도의 지식이 요구되는 분야지만,
현장에서는 설계 능력, 정비 이해도, 시스템 해석력, 품질 관리 역량 등
보다 실용적이고 검증된 능력을 가진 인재가 선호된다.
자격증은 단지 “스펙”이 아니라,
자신이 해당 분야에 대해 실질적인 기술력과 이해도를 갖추고 있다는 증명 수단이다.
진로의 방향에 따라, 위성 개발을 꿈꾼다면 궤도 해석 툴 자격을,
정비와 MRO 진출을 원한다면 항공기사 자격을,
무인기/UAM 분야에 관심이 있다면 드론 조종 자격을 준비해보자.
지금 준비한 자격이, 내일의 비행을 가능하게 한다.